정보처리기술사/03. SW공학 4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란? 쉽고 자세한 가이드

1. MSA란?최근 IT 업계에서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 MSA)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기존의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에서 벗어나, 개별적으로 개발 및 배포가 가능한 작은 서비스 단위로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MSA가 왜 중요한지, 어떤 장점과 단점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2. MSA의 주요 특징✅ 독립적인 서비스 개발 및 배포각 서비스는 독립적으로 개발 및 배포할 수 있어, 특정 기능을 변경할 때 전체 시스템을 재배포할 필요가 없습니다.✅ 비즈니스 도메인 중심 설계애플리케이션을 비즈니스 도메인별로 나누어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는 상품 서비스, 주문 서비스, 결제 서비스로 나눌 수..

객체지향 설계 원칙 (SOLID) 완벽 정리

객체지향 설계 원칙이란?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은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이 뛰어난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패러다임입니다. 하지만 객체지향 방식으로 코드를 작성한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코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SOLID 원칙이라는 설계 원칙이 등장했습니다.SOLID 원칙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코드의 결합도를 낮추고,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둡니다. 그렇다면 SOLID 원칙이란 무엇이며, 각각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동영상 강의]https://youtu.be/wb-13g_0mkQSOLID 원칙이란?SOLID 원칙은 로버트 C. 마틴(Robert C. Martin)이 정립한 객체지..

객체지향 설계에서 캡슐화란? 쉽게 이해하는 개념 정리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에서 캡슐화(Encapsulation)는 데이터 보호와 정보 은닉을 위한 핵심 원칙입니다.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쉽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개념이죠.이번 포스트에서는 캡슐화의 개념, 원리, 장점, 그리고 실생활에서의 예시까지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1. 캡슐화(Encapsulation)란?캡슐화는 객체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기법입니다. 대신, 데이터를 안전하게 다룰 수 있도록 객체가 제공하는 메서드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합니다.즉, 중요한 정보는 숨기고, 필요한 기능만 공개한다는 원칙을 따르는 것이죠.📌 캡슐화의 핵심 개념✔ 데이터 보호: 클래스 내부 변수(필드)에 p..

회전 복잡도(Cyclomatic Complexity)와 할스테드 지표(Halstead Metrics) 설명 및 활용 분야

📌 소프트웨어 품질과 코드의 복잡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인 회전 복잡도(Cyclomatic Complexity)와 할스테드 지표(Halstead Metrics) 입니다.이 두 지표는 코드의 복잡도, 유지보수성, 오류 가능성을 분석하는 데 널리 활용됩니다.🧮 1️⃣ 회전 복잡도 (Cyclomatic Complexity)✅ 정의회전 복잡도는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 복잡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즉, 코드 내 독립적인 실행 경로의 수를 나타내며, 테스트 시 필요한 최소 테스트 케이스 수를 알려줍니다.🔢 계산 공식M=E−N+2PM = E - N + 2PM: 회전 복잡도E: 제어 흐름 그래프의 간선(edge) 수N: 노드(node) 수P: 독립적인 제어 흐름 수(일반적으로 1)🧪 간단한 예시..